목적
이 글에서는 스캠을 당한 경우, CS 팀에 연락을 취하고 티켓을 접수한 이후, 추가로 취할 수 있는 단계에 대해 설명합니다.
참고 정보
이 글에서는 여러분이 아래 글에 기술된 내용을 이해하고 있다고 가정합니다.
내용
빠르게 변화하는 Web3 세계에서는 여러분의 계정과 지갑을 보호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하지만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도 항상 해킹의 위험은 존재합니다. 여러분의 계정이나 지갑에 누가 무단으로 접근하려는 모습이 의심되는 경우, 신속하게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면, 가능한 한 빨리 다음 단계를 따르세요.
- 새로운 지갑을 만듭니다.
- 새로운 복구 시드 문구를 적어 안전한 곳에 보관합니다.
- 해킹 당한 지갑에 남은 자금이나 아이템을 새로운 지갑으로 보냅니다. 해킹을 한 사람이 해당 지갑에 추가되는 아이템까지 모두 빼갈 수 있는 스크립트를 구현해 두었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싹쓸이 스크립트'(sweeper script)가 활성화된 것으로 의심되는 경우, 해당 지갑으로 토큰을 보내지 마세요.
- 싹쓸이 스크립트(sweeper script)란, 지갑에서 악의적인 행위자의 주소로 자금이 자동으로 이체되게끔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스크립트를 의미합니다.
- 해킹을 당한 지갑을 앞으로도 사용하지 마세요.
- 더 이상 추가 손실이 없도록 조치를 취한 후, 아래 설명에 따라 이 상황을 신고할 수 있습니다.
1. 해커의 이더리움 블록체인 상 ETH 주소를 신고하세요. 이더스캔과 오픈씨 같은 플랫폼에서 가능합니다.
2. 여러분 지역의 사이버 범죄 관할 기관에 연락하세요. 모든 지역에 대한 링크를 포함할 수는 없지만, 아래 링크 몇 개를 공유합니다.
- 한국: 경찰청 사이버 안전지킴이(사이버 범죄 신고 시스템)
- 미국: IC3
- 유럽연합: Europol
- 필리핀: CICC
- 브라질: 지역 사이버범죄 수사대
참고: 블록체인에서는 트랜잭션이 발생한 후에는 이를 되돌릴 수 없으며, 갈라게임즈 및 엔터테인먼트는 손실된 것을 회수할 수 없다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